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및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을 비교해보고, 서울 주요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또한 별도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특히, 각 구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확인을 통해 서울 아파트 중에서도 어느 지역에 투자하면 좋을지 힌트를 얻어보겠습니다.
하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 (2021년 1월~2023년 7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추이는 2021년 말까지 지속적인 상승추이를 보이다가 2022년 중반까지 조금씩 하락하더니 2022년 6월 이후 급락하기 시작하여 2023년 1월에 바닦을 찍었습니다.
다만, 2023년 1월 이후에는 정부정책 및 부동산 시황의 점진적 회복으로 아파트 실거래가 추이가 꾸준히 다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위 그래프는 한국부동산원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실거래가 추이 데이터로서, 한눈에 보더라도 2023년 들어와 아파트 가격 추이가 명확하게 회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아파트 실거래가 추이의 기준이 되는 시점은 2017년 11월로서 이 당시의 아파트 가격을 100으로 보았을때 현재 실거래가격 비율을 지수화한 것이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입니다.
이러한 지수의 변동을 확인함으로써 전체적인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
서울의 아파트 실거래가격 추이 또한 전국 평균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전국의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현재 120을 살짝 넘는 수준임에 비해 서울의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2023년 8월말 기준 157.9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기준 가격이 되는 2017년 11월 이후 서울 아파트가 전국 평균보다 2~3배 수준 올랐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데이터를 보면 아파트를 사려면 웬만하면 서울 아파트를 사야 한다는 이야기가 근거 없는 주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특히, 서울은 2022년 12월 142를 바닥 으로 이후 8개월 동안 꾸준히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가 상승하여 160 근처까지 회복했기 때문에, 2023년 들어와 정부의 부동산 부양 정책이 어느 정도 먹혀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셋,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현재 서울에서 2017년 11월대비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일까요?
그것은 바로 용산구입니다.
2023년 2분기 기준 용산구의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69.8로서 서울 각 구별 실거래가 지수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용산지역의 급속한 주거환경 개선 및 부동산 개발이 지속적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실거래가 지수가 높은 지역은 성동구입니다.
성동구 또한 개발 호재가 지속되면서 아파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 지역 중 하나 입니다.
2022년 2분기에는 지수가 200 이 넘기도 하였으며, 이는 2017년 11월 대비 평균적인 아파트 가격이 2배까지 뛰었다는 뜻이 됩니다.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성동구의 지수는 166.1 로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럼 3위는 어디일까요?
3위는 바로 영등포구입니다.
영등포구 또한 용산구, 성동구와 함께 2020년을 전후로 핫플레이스 처럼 아파트 가격이 급상승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들어서도 아파트 가격이 가파르게 회복되면서 2분기 기준 아파트 거래가격 지수가 166.1 성동구와 동일한 166.1을 기록하였습니다. (소수점 차이로 3등이 되었습니다.)
그럼 4위와 5위는 어디일까요?
바로, 강남을 제외한 지역중에서 전통적으로 학군이 좋은 노원구와 양천구입니다.
노원구는 중계, 상계 등 좋은 학군 및 재건축 호재가 대기중이며, 양천구 또한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강남에 준하는 학군과 더불어 각종 재건축 및 개발호재가 대기하고 있는 유망 투자 지역입니다.
노원구의 2023년 2분기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63.5 이며 양천구는 158.3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노원구 아파트는 양천구 대비해서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높은 가격상승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강남이나 목동에 투자하기에는 자금이 부족하지만 재건축 학군좋은 오래된 아파트에서 소위 몸테크하면서 아이를 키우며 장기간 재건축이 될때까지 버틸 수 있는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아파트 투자지역이기도 합니다.
물론, 자금이 넉넉하고 여의도나 서울 강서, 인천, 부천지역에 삶의 기반이 있으신 분들은 목동 아파트 투자도 유망하다고 판단됩니다.
넷, 서울 빅 3인 강남, 서초 및 송파구의 아파트 매매가격 추이는?
노원과 양천구 다음으로 아파트 가격상승이 유지되고 있는 지역은 6위 성북구, 7위 마포구, 8위 서초구, 9위 중랑구, 10위 강남구, 11위 송파구 순위입니다.
강남 빅 3 지역인 서초, 강남, 송파구 아파트 가격 상승율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크게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서초구 155.9, 강남구 155.6, 송파구 154.9로 상당히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들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다른 지역대비 월등하게 높은 수준이기때문에, 실거래 매매가격 지수는 서울의 다른 지역대비 좀 낮다 하더라도, 가격 상승 금액 자체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높다는 점은 기억하셔야 되겠습니다.
다섯,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오르지 않은 지역은?
그럼, 서울 각 지역중에서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어디일까요?
가장 낮은 지역은 은평구로서 실거래가 지수 140.1을 기록하였습니다. 169.8을 기록한 용산구와 기록해보면 아파트 가격 상승율이 상당히 차이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은평구 다음으로 가격지수가 낮은 지역은 종로구로서 144.5를 기록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강북구 145.1, 금천구 145.4, 관악구 146.4 를 기록하였습니다.
해당 지역들은 아파트 매매가격수준 자체도 낮지만, 상승률도 낮기때문에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서울 다른 지역대비 상당한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120을 조금 넘는 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아파트 투자지역을 서울로 좁히는 것 만으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역별로 편차는 있겠지만 미래에도 큰 흐름에서는 빈부격차의 확대와 서울로의 경제 집중화 현상이 유지되면서 서울 아파트 가격은 다른 지역대비 상대적으로 지속적으로 유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표. 서울 각 지역별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추이.
지역 | 구 | 22년1분기 | 22년2분기 | 22년3분기 | 22년4분기 | 23년1분기 | 23년2분기 |
---|---|---|---|---|---|---|---|
서울 | 용산구 | 191.3 | 192.7 | 185.9 | 171.7 | 161.3 | 169.8 |
서울 | 성동구 | 199.2 | 200.3 | 181.3 | 161.4 | 158.8 | 166.1 |
서울 | 영등포구 | 192.4 | 191.8 | 184.7 | 164.4 | 158.3 | 166.1 |
서울 | 노원구 | 206.6 | 205.7 | 184.6 | 159.1 | 159.7 | 163.5 |
서울 | 양천구 | 190.5 | 189.7 | 175.5 | 150.8 | 150.5 | 158.3 |
서울 | 성북구 | 189.1 | 190.2 | 172.6 | 151.9 | 150.3 | 158.2 |
서울 | 마포구 | 178.6 | 182.7 | 168 | 151.3 | 150.4 | 156.6 |
서울 | 서초구 | 177.4 | 180.9 | 170.4 | 156.6 | 150.3 | 155.9 |
서울 | 중랑구 | 179.5 | 186.5 | 179.2 | 160.5 | 154.2 | 155.8 |
서울 | 강남구 | 174.2 | 176.6 | 170.8 | 147.2 | 146.5 | 155.6 |
서울 | 송파구 | 182.9 | 178.5 | 166.2 | 142.6 | 145.6 | 154.9 |
서울 | 광진구 | 183.5 | 175.9 | 171.1 | 157.2 | 149.2 | 154.5 |
서울 | 도봉구 | 189.8 | 193.5 | 172.3 | 148.2 | 150 | 153.3 |
서울 | 중구 | 166.8 | 165.1 | 162.4 | 145.3 | 146.1 | 153.1 |
서울 | 동작구 | 183.7 | 185.6 | 168.6 | 153.2 | 147.6 | 152.1 |
서울 | 서대문구 | 180.3 | 180.3 | 167.1 | 146.2 | 145.6 | 151.7 |
서울 | 동대문구 | 183.8 | 184.4 | 169.2 | 148.9 | 146.1 | 151.6 |
서울 | 구로구 | 180.9 | 180.5 | 171.9 | 156.6 | 147.6 | 151.4 |
서울 | 강동구 | 178.3 | 173.9 | 160.3 | 136.1 | 138.8 | 149 |
서울 | 강서구 | 169.9 | 170.6 | 163.4 | 141.5 | 139.5 | 147.1 |
서울 | 관악구 | 176 | 172.8 | 162.8 | 143.7 | 144.8 | 146.4 |
서울 | 금천구 | 177.3 | 174.7 | 161.9 | 141.2 | 141.2 | 145.4 |
서울 | 강북구 | 177.7 | 179.5 | 164.6 | 144.1 | 143.4 | 145.1 |
서울 | 종로구 | 159.7 | 160.7 | 144.8 | 151.3 | 137.7 | 144.5 |
서울 | 은평구 | 163.8 | 164.8 | 154.7 | 137.4 | 135.3 | 1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