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신브레이크는 주식시장에서 오랫동안 소외된 자동차부품 기업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상신브레이크 사업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기에, 상신브레이크의 사업현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래에서 상신브레이크의 사업개선 현황과 전기차 시대 준비 현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상신브레이크 주요 판매 품목 및 품목별 매출비중.
아래 표는 2023년 기준 상신브레이크의 사업 및 품목별 매출액과 매출비중입니다.
상신브레이크의 사업부문은 제동부문과 설비부문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제동부문은 브레이크 패드와 같은 차동차 제동 제품을 제조하여 OE(주문자생산방식) 방식으로 납품하거나, RE(국내외 보수용) 시장에 판매합니다. 상신브레이크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업입니다.
그리고 설비부문은 제동제품 제조 전용설비 및 시험장비를 제작하여 국내외에 판매하는 사업부입니다.
전체 매출의 3% 수준의 마이너한 사업부문입니다.
제동부문에는 브레이크 패드(PAD), LINING, SHOE ASSEMBLY, BRAKE ASSEMBLY, AXLE ASSEMBLY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지만, 특히 브레이크 패드의 매출비중이 전체 매출의 7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력제품은 브래이크 패드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로 하드론(HARDRON) 이라는 브랜드를 키우고 있습니다.
그 외 명품 브레이크라고 소개하고 있는 하겐(HAGEN) 이라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이러한 브랜드 외에도 특수한 상황이나 목적에 맞는 브랜드들을 세분화하여 라인업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3년 마감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상신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의 가동율이 83%에 달하고 있다고 공시하였습니다.
공장가동율 또한 상당히 양호한 상황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수출과 내수 비중은 각각 71% 및 29% 라고 공시하였습니다.
수출비중이 71% 에 달한다는 것은 국내시장을 넘어 글로벌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업투자에 있어 회사의 연구개발비 투자 또한 투자포인트 중 하나인데요, 상신브레이크는 2023년 기준 연구개발비를 매출액의 2.9%에 달하는 167억원 지출하였다고 공시하였습니다.
현재 시가총액 800억원 안되는 기업이 연구개발비로 매년 167억원을 지출하고 있다는 것은 눈여겨볼 포인트이기도 합니다.
(2) 상신브레이크 주요 제품의 가격 추이.
상신브레이크는 자동차 부품주입니다.
기술력이 없어서 철저한 을의 위치이거나 고객이 다변화되어 있지 않는 등 사업에 이슈가 있다면 제품 단가를 마음대로 올릴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상신브레이크의 제품 판매 단가를 보면 상당히 놀라운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력 제품인 브레이크 패드 (PAD) 의 경우 2023년 제품단위당 가격은 3,452원으로 2년전인 2,593원에 비해 33% 단위당 단가가 인상되었습니다.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 확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이렇게 주력 제품 가격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아까 살펴본 것 처럼 상신브레이크의 수출비중이 71%에 달하다보니 달러 환율 변화 영향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찌되었든 제품 전체적인 판매단가가 상당한 상승폭을 달성했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시그널입니다.
(3) 상신브레이크 제품별 가동율 세부 추이.
아래 표는 상신브레이크의 2023년 (제49기), 2022년(제 48기) 의 생산능력입니다.
주력 제품인 PAD 의 생산능력이 증가한 것이 눈에 띄입니다.
그리고 AXLE ASS’Y 의 경우 신규로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상신브레이크의 실제 생산실적입니다.
주력 제품 브레이크 PAD 의 생산실적이 증가한 것이 여기서도 확인됩니다.
아래 표는 2023년 기준 상신브레이크의 제품별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을 종합하여 정리한 표입니다.
역시나 주력 제품인 PAD 의 가동률이 83%로 비교적 양호한 가동률을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비주력 제품군의 가동률이 대체로 50% 미만인 것이 좀 아쉽기는 하지만, 그래도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력제품의 가동률이 양호한 것은 분명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여집니다.
(4) 상신브레이크의 CAPEX 및 감가상각현황.
상신브레이크의 2023년말 기준 생산관련 설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 생산관련 설비의 유형자산은 2023년말 기준 약 1,814억원 수준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2023년 한 해 동안 기계장치 취득에 116억원을 투자하였다는 것입니다.
아래 표는 1년 더 과거 자료인 2022년말 기준 상신브레이크의 생산설비 현황 및 투자 관련 내용입니다.
2022년에는 기계장치 취득에 약 35억원 정도 사용하였습니다.
즉, 2023년은 새로운 기계장치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한 해 였고, 이는 향후 상신브레이크의 생산실적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래 표를 보면 2023년말 기준으로 상신브레이크가 설비의 신설 및 투자 관련 계획을 밝힌 것인데요, 국내보다 해외 투자를 좀 더 할 것이라고 이야기한 부분을 보았을 때 해외 법인 중심의 생산 역량 증가가 2024년 예상됩니다.
(단위: 억원) | |||
---|---|---|---|
구분 | 품목 | 투자효과 | 24년 투자계획 |
국내법인 | 설비 증설 및 보완 투자 등 | 생산능력 및 생산성 향상 등 | 16 |
해외법인 | 64 | ||
합계 | 80 |
(5) 상신브레이크 매출 및 수주 실적 현황.
아래 표는 상신브레이크의 제품별 매출 실적입니다.
(단위 : 백만원) | ||||||
---|---|---|---|---|---|---|
사업 부문 | 매출 유형 | 품 목 | 제49기 | 제48기 | 제47기 | |
제동 부문 | 제품 상품 | PAD | 수 출 | 306,427 | 274,873 | 211,413 |
내 수 | 116,799 | 106,813 | 97,649 | |||
합 계 | 423,226 | 381,686 | 309,062 | |||
LINING | 수 출 | 10,072 | 9,906 | 7,996 | ||
내 수 | 13,794 | 13,588 | 14,647 | |||
합 계 | 23,866 | 23,494 | 22,643 | |||
SHOE ASS’Y | 수 출 | 11,035 | 8,806 | 6,955 | ||
내 수 | 16,758 | 17,926 | 17,226 | |||
합 계 | 27,794 | 26,732 | 24,181 | |||
BRAKE ASS’Y | 수 출 | 14,944 | 11,360 | 5,703 | ||
내 수 | 21,999 | 24,155 | 25,961 | |||
합 계 | 36,943 | 35,515 | 31,664 | |||
AXLE ASS’Y | 수 출 | 47,480 | – | – | ||
내 수 | – | – | – | |||
합 계 | 47,480 | – | – | |||
기타 (부산물 및 세탁기외) | 수 출 | 93,253 | 101,402 | 76,841 | ||
내 수 | 37,019 | 37,743 | 45,008 | |||
합 계 | 130,272 | 139,145 | 121,849 | |||
부문계 | 수 출 | 483,212 | 406,347 | 308,909 | ||
내 수 | 206,369 | 200,225 | 200,628 | |||
합 계 | 689,581 | 606,572 | 509,537 | |||
설비 부문 | 제품 | 전용 설비 | 수 출 | 7,160 | 6,994 | 11,085 |
내 수 | 9,171 | 7,176 | 3,554 | |||
합 계 | 16,331 | 14,170 | 14,639 | |||
내부거래 및 연결조정 효과 | 수 출 | (79,027) | (83,377) | (72,770) | ||
내 수 | (51,394) | (48,350) | (54,381) | |||
합 계 | (130,421) | (131,727) | (127,151) | |||
합 계 | 수 출 | 411,345 | 329,964 | 247,223 | ||
내 수 | 164,146 | 159,051 | 149,800 | |||
합 계 | 575,491 | 489,015 | 397,023 |
압도적인 주력 제품인 브레이크 패드의 매출이 매년 순조롭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2021년 3,970억원이었던 매출액이 2022년 4,890억원을 거쳐 2023년 5,755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상당히 빠른 속도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2023년에는 신규제품으로 AXLE ASS’Y 가 새로 475억원의 매출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6) 상신브레이크의 향후 전망은?
2023년 중반부터 상신브레이크는 친환경 전기차 관련 사업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삼성 SDI 의 미국 배터리합작사 인근에 부지를 마련했다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아래 표는 상신브레이크의 주요 연구개발 실적인데요, 이 내용을 살펴보면 ‘친환경차 대응을 위한 전용 마찰재 개발’ 을 진행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친환경차 전용 마찰재의 개발을 통해 이러한 신규 마찰재를 전기자동차 회생제동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즉, 상신브레이크는 전기차 전환의 수혜 기업으로 부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상당수 자동차 부품주의 경우 전기차 전환에 따라 자동차 부품 수 자체가 줄어들면서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고, 일부 전기차 수혜기업으로 뉴스에 나오는 기업의 경우에도 실제 전기차 수혜와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감소의 마이너스 효과 중 어느 것이 더 클지 불분명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상신브레이크는 브레이크 관련하여 국내 독보적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브레이크 패드 및 부품의 경우에는 전기차 전환에도 매출 감소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기차에 적합한 신규 기술을 가진 업체라면 더욱 유리한 영업환경이 펼처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상신브레이크는 전기차 관련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향후 사업 전망 또한 한 단계 퀀텀 점프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향후 전기차 부품주로서 상신브레이크를 눈여겨보아야 할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